들어가며
“한 번에 끝나는 글보다, 독자가 계속 찾아오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으신가요?”
블로그 운영에서 ‘시리즈 콘텐츠’는 충성 독자를 확보하고 검색 노출을 높이는 핵심 전략이다.
특히 도서관의 소장 자료를 활용하면 방대한 정보와 신뢰도를 기반으로 꾸준히 이어지는 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 연재 기획 구조 만드는 법
- 정보량 조절 및 콘텐츠 분할 전략
- 중복 없이 지속 가능한 글감 확보 방법
등 위의 세 가지 단계로 시리즈 콘텐츠 기획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ㄱ
1. 연재 기획 구조 만드는 법
“도서관 자료를 어떻게 시리즈로 묶을 수 있을까요?”
자료는 많지만 방향이 없으면 글이 흩어진다. 시리즈 기획의 첫 단계는 전체 틀을 만드는 것이다.
핵심 전략
- 주제 축 설정: 예) ‘한국 근대사 희귀자료’, ‘세계 명화 비하인드 스토리’
- 연재 단위 정하기: 사건별, 인물별, 시기별, 지역별로 구분
- 목차 초안 작성: 연재될 각 글의 제목과 핵심 키워드 사전 설정
📌 일상 예시
역사 블로거 수현은 ‘일제강점기 여성단체 기록’ 자료를 바탕으로 시리즈를 기획했다.
1편은 ‘여성단체의 탄생 배경’, 2편은 ‘주요 활동과 사건’, 3편은 ‘해방 이후 변화’로 나눴다.
이렇게 큰 틀을 잡으니, 이후 자료를 수집할 때 어떤 내용이 어느 편에 들어갈지 명확해져 작업 속도가 빨라졌다.
2. 정보량 조절 및 콘텐츠 분할 전략
“자료가 너무 많아 글이 길어지면 어떻게 하나요?”
도서관 자료는 방대하지만 개인연구 주제나 블로그 글의 양은 한 편에 너무 많은 정보를 담으면 가독성이 떨어진다.
정보 분할 방법
- 핵심 vs 부가 정보를 구분해 핵심만 본문에, 나머지는 별도 글로 분리
- 시간·지역·인물 단위로 나누어 각 편이 독립적으로 읽히도록 구성
- 자료 유형별로 나눔 (예: 사진 편, 보고서 편, 인터뷰 편)
📌 일상 예시
문화 블로거 재훈은 ‘서울의 근대 건축물’ 자료를 활용하면서, 처음에는 한 편에 모든 건물을 담았다.
하지만 글이 너무 길어 독자가 중간에 이탈하는 것을 보고,
지역별(중구, 종로구, 용산구)로 나눠 3편 시리즈로 재편성했다.
결과적으로 각 글의 체류 시간이 평균 1.8배나 늘어났다.
욕심을 좀 덜어내고 사용자 친화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ㄱ
3. 중복 없이 지속 가능한 글감 확보 방법
“시리즈가 길어지면 내용이 겹치지 않을까요?”
시리즈 콘텐츠가 오래 지속되려면 글감이 끊기지 않고,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가 필요하다.
글감 확보 방법
- 사전 조사로 각 편의 핵심 소재를 미리 확정
- 자료를 다각도로 해석: 역사적 맥락, 사회적 영향, 현재와의 비교 등
- 독자 피드백 반영: 댓글·메시지에서 받은 질문을 다음 편 소재로 활용
📌 일상 예시
교육 블로거 민아는 ‘세계 교육제도’ 시리즈를 도서관 자료로 만들었다. 처음 5편은 자국 중심으로 기획했지만, 독자 중 한 명이 “핀란드 교육 자료도 있나요?”라고 질문하자 즉시 도서관에서 관련 보고서를 찾아 다음 편에 반영했다.
이렇게 독자 의견을 반영한 기획은 콘텐츠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재방문율을 높였다.
🧾 실전 요약 Tip: 시리즈 콘텐츠 기획 3단계
연재 기획 구조 | 주제 축, 연재 단위, 목차 초안 설정 | 지나치게 광범위하면 주제 흐림 |
정보량 조절 | 핵심·부가 정보 구분, 유형별·단위별 분리 | 편별 분량 균형 유지 |
글감 확보 | 사전 조사, 다각도 해석, 독자 피드백 활용 | 중복·반복 내용 최소화 |
ㄱ
결론
도서관 소장 자료를 기반으로 한 시리즈 콘텐츠는 ‘정보의 깊이’와 ‘신뢰도’라는 강점을 가진다.
하지만 성공적인 시리즈를 위해서는 주제 구조 설계, 정보 분할, 지속 가능한 글감 관리라는 세 가지 요소를 반드시 챙겨야 한다.
이 방식으로 기획할 때 콘텐츠는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 독자가 매 편 기다리는 ‘브랜드 콘텐츠’로 성장할 수 있다.
'도서관 소장 희귀자료 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 도서관에서 특정 주제(예: 여성운동사)의 희귀 자료 검색 방법 (0) | 2025.08.28 |
---|---|
38. 독창적 소재 발굴: 도서관 희귀 자료를 활용한 전자책 콘텐츠 제작법 (0) | 2025.08.27 |
37. 도서관(온라인, 오프라인) 활용법을 주제로 한 정보 콘텐츠 유형 정리 (0) | 2025.08.26 |
36. 도서관 자료를 통한 팩트체크 콘텐츠 제작법 (0) | 2025.08.25 |
35. 조선시대 여성의 일상과 가사 노동 (0) | 2025.08.24 |
34. 조선시대 선비의 하루 일과 (0) | 2025.08.23 |
33. 조선시대의 과거 시험 준비 과정 (0) | 2025.08.22 |
32.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당과 서원의 차이 (0)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