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서각활용법 (2) 썸네일형 리스트형 15. 장서각·규장각 자료를 활용한 고급 콘텐츠 제작법: 조선 왕실 지식으로 콘텐츠 차별화하기 ✅ 장서각과 규장각의 차이부터 이해하자“장서각이랑 규장각은 뭐가 다른 거예요?”많은 사람들이 둘을 같은 기관이라고 착각해.하지만 자료의 성격, 보관 범위, 접근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어. 구분 장서각 규장각소속한국학중앙연구원서울대학교주자료조선 왕실 기록물조선 후기 국정 운영 문서 중심대표자료의궤, 일성록, 왕실 편지 등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등특징번역/해제문 포함 제공원문 중심, 학술연구용 강세사이트jsg.aks.ac.krkyujanggak.snu.ac.kr 👉 콘텐츠용으로는 해석문과 이미지가 제공되는 ‘장서각’ 자료가.. 14. 고문서 해독 시 기초 한자어 및 용례 이해법: 초보자를 위한 실전 안내서 ✅ 왜 고문서를 읽기 어렵게 느낄까? – ‘기초 한자어’가 핵심이다“고문서는 글자가 보이는데 왜 내용이 하나도 이해가 안 될까요?”고문서가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단순히 ‘한자로 쓰여 있어서’가 아니다.진짜 이유는 다음 두 가지:기초 한자어가 현대와 다른 의미로 쓰이기 때문일상에서 쓰지 않는 형식어와 관용표현이 반복되기 때문특히 조선시대나 일제강점기 문서에는 행정, 법률, 종교, 경제 용어들이오늘날과 완전히 다른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서,**‘모양은 익숙한데 의미는 모르는 글’**로 느껴지게 된다.📌 일상 예시:공공기록물 콘텐츠를 기획하던 주원은‘수결(手決)’이라는 단어를 고문서에서 자주 보게 되었는데‘결제한 사람의 이름을 직접 손으로 쓰는 것’이라는 뜻을처음엔 몰라서 전체 내용을 오해한 적이 있었다.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