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사놀이, 그냥 유치한 흉내 내기 아닐까요?”
아이들이 진료 가방을 들고 “주사 맞을 시간이에요~”라고 장난칠 때, 많은 부모들은 귀엽다고 웃어 넘깁니다. 혹은 “숙제 안 하고 저런 것만 하네”라며 불안해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교육학과 발달심리학 연구는 이 단순한 역할극 속에 엄청난 학습의 씨앗이 숨어 있음을 알려줍니다. 극놀이(pretend play)와 상상놀이는 단순한 유희가 아니라, 언어 능력·집행기능·사회인지 발달을 촉진하는 중요한 무대입니다.
2. 왜 극놀이가 중요한가: 뇌 속에서 벌어지는 일
극놀이는 ‘진짜가 아닌데 진짜처럼 하는 놀이’입니다. 아이는 이 과정에서 여러 뇌 회로를 동시에 가동합니다.
- 언어적 확장: 대사, 규칙, 서사를 만들어내며 어휘와 문장 구성이 확장됨.
-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 차례를 지키고, 충동을 억제하고, 상황에 맞게 규칙을 수정하는 능력.
- 사회인지(Social Cognition): 상대방의 역할을 상상하고 감정을 읽는 훈련.
실제로 유아기의 극놀이 참여 수준이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집행기능(EF) 발달을 예측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 고위험군 아동의 경우 극놀이가 행동 문제를 완충하는 보호 요인으로 작동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3. 현장의 사례: 수줍음 많은 아이의 변화
수업시간에 늘 조용히 듣기만 하고 쉬는 시간에도 혼자 책만 보던 아이가 있었습니다.
교사는 그 아이를 내성적이라고만 평가했지요. 그런데 어느 날 역할극 활동에서, 그 아이가 갑자기 “내가 선생님 할래!” 하더니 또래들에게 규칙을 정해주기 시작했습니다.
이 순간 교사가 본 것은 단순한 흉내가 아니었습니다.
- 리더십의 초기 신호: 규칙을 재구성하고 타인을 설득.
- 언어적 자신감의 확장: 평소보다 긴 문장을 사용.
- 사회성의 전환점: 또래 관계에서 주도적 위치 확보.
이 경험 이후, 교사는 이 아이의 내성적 성향을 결핍으로 보지 않고, 상상놀이가 매개가 될 때 발현되는 강점으로 기록했습니다.
4. 교사와 부모가 활용할 수 있는 관찰 전략
극놀이와 상상놀이는 그냥 두면 사라지는 ‘흔적 없는 놀이’가 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관찰과 기록이 필수적입니다.
① 역할 규칙 협상 기록
- “너는 환자, 나는 의사!”
- “아니야, 나는 간호사 할래.”
→ 아이들이 협상하는 과정 자체가 집행기능과 언어 발달을 보여줍니다.
② 상징적 전이 확인
- 빗자루를 말로, 블록을 핸드폰으로 사용하는 순간 → 상징적 사고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서사 확장 유도
- 교사가 의도적으로 작은 문제를 던집니다. “환자가 약을 안 먹으려고 해요. 어떻게 하지?”
→ 아이들은 갈등 해결 전략을 제시하면서 이야기 구조를 확장합니다.
5. 데이터 기록 템플릿
의사 | “환자는 주사 맞아야 해” | 블록=주사기 | 환자 거부→간호사 설득→환자 동의 | 차례 기다림 성공 |
교사 | “수업 시작했어요” | 책=출석부 | 친구 집중 안 함→주의→다시 참여 | 충동 억제 |
6. 영재교육 관점에서의 의미
영재성은 IQ 점수로만 드러나지 않습니다.
역할 전환, 규칙 재구성, 즉흥 서사 확장 같은 행동이야말로 고차원적 사고의 단서입니다.
- 언어적 강점을 보이는 아이: 즉흥 스토리 만들기, 토론 활동으로 확장.
- 사회인지 강점을 보이는 아이: 협상, 중재, 리더십 과제로 발전.
- 자기조절력이 돋보이는 아이: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리더 역할 가능.
AI 시대에도, 이런 역량은 기계가 대신할 수 없습니다.
상상은 두뇌의 체력 훈련이자 인간 고유의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7. 부모와 교사를 위한 작은 조언
- 내성적인 아이도 기회를 주자: 역할극은 억지로 참여시키기보다 작은 역할부터 맡기면 효과가 큽니다.
- 놀이를 지시하지 말자: 아이가 만든 규칙과 서사를 존중하는 것이 핵심.
- 언어 확장을 지원하자: 아이가 말한 내용을 따라 말해주며 어휘를 확장.
8. 마무리와 다음 예고
극놀이와 상상놀이는 단순히 아이가 귀여워 보이는 순간이 아닙니다. 언어, 집행기능, 사회성이 동시에 자라는 훈련장이며, 영재교육의 초기 단서를 제공하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 내일은 DAY 4: 리듬·음악·패턴 놀이 ― 읽기와 수학을 잇는 다리에서, 음악과 문해 발달, 그리고 수학적 패턴 인식의 놀라운 연결을 살펴보겠습니다.
'AI-MIT 진로·적성 상담 > 재능탐색 리서치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발달 놀이] 리스크 플레이·거친 놀이가 자기조절·사회성 발달에 좋은 이유 (0) | 2025.09.26 |
---|---|
[블록놀이·퍼즐놀이 효과] 아동 발달과 수학·공간지능 성장을 돕는 방법 (0) | 2025.09.23 |
[아이 재능 발견] 아동 발달 놀이 관찰로 알 수 있는 7가지 신호와 AI 시대 교육자의 역할 (0) | 2025.09.22 |